행정부고위공무원

행정부고위공무원은 정부의 정책을 결정하고 예산 및 법령안을 작성ㆍ수정하며, 외국에서 국가를 대표ㆍ대리한다.
- 정부의 정책을 결정하고 예산 및 법령안을 작성, 수정하며 정부부처의 법령을 해석하고 적용한다.
- 정책수행을 기획, 조직 및 통제하고 외국에서 국가를 대표ㆍ대리한다.
- 정부부처의 관련 행정업무를 기획, 지휘, 조정한다.
- 각급 지방자치단체의 구역, 조직 및 행정관리, 주민복지증진, 산업진흥과 지역개발 및 주민생활 환경의 설치, 관리 등 지방행정 분야의 정책 수행을 기획, 조직 및 통제한다.


- 행정부고위공무원은 인적자원 관리능력과 조직체계의 분석 및 평가능력이 요구되며, 법률, 규정과 경영 및 관리에 관한 지식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 부처 간 행정업무를 기획, 지휘, 조정할 수 있는 협조능력과 리더십이 필요하다.
행정부고위공무원이 되기 위해서는 공개채용시험에 합격하여 승진경로를 밟거나 특별채용되는 방법이 있다. 공무원의 채용은 공개채용을 원칙으로 하되 공개채용시험에 의한 충원이 곤란한 분야에 한해 제한적으로 특별채용시험으로 뽑고 있다. 시험응시는 학력 및 경력의 제한이 없으나 지방직의 응시자격은 지역거주자로 제한하고 있다. 공무원이 되기 위한 특별한 교육과정은 없으며 보통 사설학원을 다니거나 독학으로 시험을 준비하고 있다. 시험에 합격하면 합격자가 채용 후보자 명부에 등록을 해야 하며, 시험실시기관에서는 각급 기관에 결원이 생길 때마다 시험성적, 훈련성적, 적성 등을 참작하여 임용?추천하게 되며 이들의 승급 및 승진은 국가공무원법에 의해 이루어진다.
- 고위공무원은 행정기관 국장급(3급) 이상 공무원으로 행정부의 고위공무원이 될 수 있는 방법은 국가공무원시험에 합격(5급 공채, 7급 공채, 9급 공채)하여 승진경로를 밟거나 행정부 개방경쟁채용을 통해 임용되는 방법이 있다.
- 국가공무원시험은 5급 공채, 7급 공채, 9급 공채로 나뉘며, 학력 및 경력에는 응시제한이 없지만, 연령은 7급의 경우 20세~35세(지방직 20세~37세)로, 9급의 경우 18세~28세(지방직 18세~32세)로 제한하고 있다.
- 행정고등고시(5급)의 경우 학력이나 경력의 제한은 없으나, 20세 이상 32세 미만으로 응시연령이 제한되어 있다. 2012년부터는 국사편찬위원회에서 주관하여 시행하는 한국사능력검정시험에서 2급 이상 소지자로 응시자격에 제한을 두고 있다.
*공개모집직위-고위공무원 중에서 선출, 공무원 정년 유지, 기본 연봉 수준은 공무원과 같되, 능력에 따라 받게 됨.
*개방형직위-민간(박사학위 소지자 혹은 각 분야의 전문가), 최대 5년 계약, 기본 연봉 수준은 공무원과 같되, 능력에 따라 받게 됨.
- 종전의 1~3급의 계급을 폐지하여 직무와 직위에 따라 고위공무원으로 승진할 수 있다. 고위공무원으로 임용 된 후, 매 5년에 한 번씩 적격 검사를 실시하여 자신의 성과와 능력을 평가받는다.
핵심능력-대인관계능력, 언어능력, 자기성찰능력
유사직업-국회의원, 지방의회의원, 외교관
관련학과-법학과, 행정학과, 경영학과
관련정보처-행정안전부( www.mopas.go.kr ) 한국행정연구원( www.kipa.re.kr ) 한국지방행정연구원( www.krila.re.kr )
사용하는 도구 및 프로그램-워드프로세스, 프리젠테이션, 엑셀
향후 5년간 행정부 고위공무원의 일자리는 현 상태를 유지할 것이다. 범문성과 행정관리에 대한 폭넓은 시야를 가진 고위전문가를 제도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실·국장급들의 고위공무원을 행정부 고위 공무원이라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2006년 7월 1일부터 도입했으며, 미국은 1979년 이 제도를 도입했다. 우리나라 고위공무원은 적은 정부를 지향하는 현재의 흐름 상 일자리가 증가하기 어려울 것이다.


『산업ㆍ직업별 고용구조조사』에 의하면 행정부고위공무원을 포함하고 있는 고위공무원 및 공공단체임원은 4,000명이며, 이 가운데 여성은 14.8%를 차지하고 있다.
학력별로는 대졸이 68.4%, 석사 이상이 17.4%, 고졸이 14.2%로 나타났다. 월평균 임금은 411.3만 원이다
소득 수준은 전체직업 : 203.7만원 / 행정부고위공무원 : 411.3만원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콘텐츠산업실 과장


직무소개
저는 우리나라 게임산업 진흥을 위한 정부정책과 각종 지원에 대한 업무를 총괄하고 있습니다.

직업선택 동기
공무원을 시작한 지 15년 정도 되었는데 개인적으로 어렸을 때부터 공공분야 정부의 일을 하고 싶었고 적성에도 맞는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여기까지 오게 되었습니다.

직업준비 및 경로
공무원은 9개의 직급으로 구분되어있습니다. 9급이나 7급부터 시작하시는 분도 계시고 저처럼 5급인 중간관리자부터 시작하는 경우에는 고등고시를 합격해서 일정 기간 연수를 받고 자기가 일하고 싶어 하는 분야에 지원을 해서 그 분야에서 일을 할 수 있게 됩니다. 개인적으로 공무원마다 한 분야에서만 일을 하시는 분들도 있고 지방행정이나 국방에 관련된 업무를 하다가 다른 분야로 이동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저는 처음에 시작은 내무부에서 시작을 했다가 인연이 되어 문화체육관광부로 옮기게 되었습니다.

직업특성
제가 하는 정책의 입안이나 결정 사항들이 전국 방방곡곡 우리나라 혹은 다른 나라와의 관계에서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책임감과 보람을 느낄 수 있습니다. 정부에서의 정책이 여러 가지 이해관계자를 조율하고 조정하고 긍정적인 방향으로 이끌어 가야하는 부분이기 때문에 정치적 이해관계, 실질적인 현장에서 느끼는 어려움들을 다 반영을 해서 정책을 추진한다는 것이 어려움 중에 하나입니다.

자기계발(필요한 업무수행능력, 재교육활동, 학습 등)
개인적으로 여러 가지 사회적인 이익이나 다양한 이해 관계자의 이해관계를 조율하는 조정능력, 정책을 기획하고 법제화, 집행하기 위한 제원을 마련하거나 이러한 다양한 정책적인 수단을 확보할 수 있는 능력들이 겸비되어야 한다고 봅니다. 국제적인 감각과 국내적으로는 다양한 이해 관계를 조정할 수 있는 능력 이런 것들이 함께 갖춰져야 되고 분야별로는 어학능력이라든가 법률적인 지식이 요구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직업선택을 위한 조언
공무원을 하기 위해서는 일정 시험을 거쳐서 시작을 하게 되는 경우가 많지만 지금은 공무원을 하게 되는 경로가 다양화 되고 있습니다. 민간에서 근무를 해서 전문성을 인정받고 그 분야에 대해서 전문지식이나 역량을 갖춘 분들이 중간에 공직으로 들어오고 공직에 근무하던 분이 민간에 가서 자기의 역량을 발휘할 수 있는 이런 공공 부문과 민간부문의 인사 교류 시스템이 예전보다 많이 확대되고 있고 앞으로도 많이 확대될 것입니다.